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00

[Fedify]오픈소스 컨트리뷰션 발대식 후기 개발자라면 누구나 오픈소스에 기여하고 싶은마음이 한켠에 1퍼센트라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나역시 그런 개발자 중 한명이였고시도해봤지만 도대체 이 방대한 양의 코드를 내가 어떻게 파악하고 코드에 기여를 할 수 있는 지에 대한접근자체가 좀 막막하다면 막막했다고 할 수 있다.사실 각잡고 하려면 하겠지만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조금은 수월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던 차에 마침 오픈소스 멘티를 구한다는 글을 보게되었고참가신청을 했다. 사실 실무에 종사하고 있어서 안뽑힐 가능성도 있지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ㅎㅎ하지만 너무 하고싶었는데 운 좋게도 Fedify 프로젝트에 뽑혀서 진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발대식은 필참이라 발대식에 참여한 후기를 작성.. 2025. 7. 15.
코드잇 프론트엔드 단기심화 마무리 회고 이제 코드잇 단기심화가 끝난지 거의 3주가 지나간다.그 사이에 나는 취업을 하게되었고 수료 막바지에 취업을 하게되어 타이밍 좋게 수료하면서 마무리를 할 수 있게되었다!이력서에 작성하지는 않겠지만 내일배움카드 지원하는대 있어서 수료를 못하게되면 나중에 안 좋을 수도 있으니...되도록 수료를 하고 싶긴했었다. 여튼 코드잇 단기심화에 협업형태로 참여했는데 정말 최악의 경험이였음 물론 진리의 사바사 케바케겠지만!!! 나에게 일어나면 그게 백퍼센트 확률의 경험이 되는게 아니겠어요? 우리팀 같은 경우에는 중간에 디자이너가 탈주를 하질 않나백엔드 1명은 역량이 부족한대 그걸 프론트 탓으로 돌리질 않나 ㅋㅋㅋㅋㅋㅋ 다른 백엔드 분은 정말 좋았음~~ 사실 나는 다른 프로젝트도 있는 편이고 이미 경력이 있어서 안해도 그.. 2025. 7. 11.
Styled-components VS Tailwind 회사내에서 Styled-components로 구성된 작업물이 있어 코드를 살펴보니..흠...이거 굉장히 귀찮은데라는 생각이 들었음..테일윈드에 벌써 익숙해져 그렇게 느꼇을지도 모른다.인수인계문서에 styled-components를 채택한 이유가 적혀있지 않았고 이전 담당자도 정확히 모르는 것 같았다 과연 이 프로젝트에서 어떤 장점이 있길래 사용하게 됐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작년을 기점으로 테일윈드의 점유율이 더욱더 많아지고 있다.styled-components의 경우 사용하는 사람만 계속 사용하는 느낌...줄지도 늘지도 않는 우선 styled-components는 css-in-js로 자바스크립트 안에서 css를 작성하게된다. 그럼 css-in-js의 장점인 유지보수, 컴포넌트와, 재사용성이 높아지는 .. 2025. 7. 3.
[AWS] EC2 + PM2 + Ubuntu 환경에서 무중단 배포 환경 구축하기 PM2 무중단배포인스턴스는 내가 중단하기까지 꺼지지 않지만 터미널은 닫으면 종료되니 때문에 무중단 서비스가 되지않는다.터미널을 계속 켜놔도 결국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종료가 됨그렇기 때문에 해당 터미널과 서버 실행 환경을 분리가 필요하다그래야 터미널을 닫아도 서버가 계속 돌아가기 때문! 이 방식은 도커로 무중단 서비스를 운영해도 비슷하게 작동한다.하지만 지금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프론트 서버도 1개고 대규모 인프라로 자동으로 설정하는 부분도 아니기때문에간단하게 pm2로 진행!하지만 도커도 언젠간 제대로!! 해보고 싶다 그럼 이제 막 ec2 인스턴스를 만들었으니node를 우분투에 설치해보겠습니다. 우선 패키지 리스트를 최신화 하기 위해 apt update를 진행sudo apt-get update 업데이트가 됐.. 2025. 6. 12.
[AWS] NEXT.js 배포를 위한 ec2를 만들고 연결해보자 AWS EC2생성가장 많이 쓰는 우분투로 서버는 설정해주고 당연히 프리티어 키페어도 만들어줍니다꼭 저장잘하시고 되도록 잃어버리지 마세요 더보기키페어란?퍼블릭 키와 프라이빗 키로 구성되는 키 페어는 Amazon EC2 인스턴스에 연결할 때 자격 증명 입증에 사용하는 보안 자격 증명 집합입니다. Linux 인스턴스의 경우 프라이빗 키를 사용하여 인스턴스에 SSH로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일종의 열쇠의 개념! 패스워드보다 보안성이 훨씬 높음SSH환경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pem키로 생성 VPC는 기본값으로 진행서브넷도 자동으로 설정되게 합니다 퍼블릭 IP도 당연히 설정기본 보안 그룹은 외부에서의 인바운드 트래픽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포트를 열기 위해 새로운 보안 그룹을 생성SSH의 경우는 내 ip만.. 2025. 6. 2.
서버에 도메인 연결해보자 - a레코드 설정 서버에 도메인 연결해보자이 도메인을 과연 어느 서버로 연결 할 것인가!도메인에 ip주소를 연결해줘야 dns서버가 도메인을 보고 ip주소를 찾아 갈 수있다. (a레코드의 역할, aaaa는 ipv6)즉 ip주소와 도메인이 1:1매핑이 된다고 생각하면된다. 도메인은 동일하게 진행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서브 도메인으로 구분해서 진행하고 있다. 도메인을 구매한 곳에 가면dns설정을 할 수 있는 설정페이지가 존재한다. 원하는 서브 도메인을 설정해주면 된다.나의 경우에 서버 api의 경우는 주로 api.domain.com으로 진행한다. 클라이언트와 같은 도메인으로 진행할까 싶었지만 url로 바로 접근 되는 문제도 있을 수 있어서 서브도메인을 설정해주었다.물론 서버에서 보안처리를 하면 되지만 클라리언트에서 1차적으로.. 2025. 5.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