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ide project

[AWS] NEXT.js 배포를 위한 ec2를 만들고 연결해보자

by Hyeonlog 2025. 6. 2.
728x90

AWS EC2생성

가장 많이 쓰는 우분투로 서버는 설정해주고 당연히 프리티어

 

키페어도 만들어줍니다

꼭 저장잘하시고 되도록 잃어버리지 마세요

 

더보기

키페어란?

퍼블릭 키와 프라이빗 키로 구성되는 키 페어는 Amazon EC2 인스턴스에 연결할 때 자격 증명 입증에 사용하는 보안 자격 증명 집합입니다. Linux 인스턴스의 경우 프라이빗 키를 사용하여 인스턴스에 SSH로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일종의 열쇠의 개념! 패스워드보다 보안성이 훨씬 높음

SSH환경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pem키로 생성 

 

VPC는 기본값으로 진행

서브넷도 자동으로 설정되게 합니다 

퍼블릭 IP도 당연히 설정

기본 보안 그룹은 외부에서의 인바운드 트래픽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포트를 열기 위해 새로운 보안 그룹을 생성
SSH의 경우는 내 ip만 접근이 가능하게 하고 

https/http는 누구나 접근 할 수 있게 0.0.0.0/0으로 설정합니다.

 

추후에 포트번호도 인바운드 규칙으로 추가해야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 지금은 기본 보안그룹만 설정합니다. 

 

스토리지도 기본값으로 설정 약 8기가 정도이니 충분 할 것으로 생각

인스턴스 개수는 당연히 1개..여기에 테스트랑 본 서버 둘 다 넣는걸루...ㅎ....

이제 시작하면! ec2만들기는 끝!!! ec2만드는건 어렵지 않다

어떻게 관리를 하느냐...그것이 제일 중요한 것 같다 

글고 제일 중요한!!!

프리티어 알림 받아야지 돈 안내려면 젤 중요함

 

인스턴스 연결

이제 만들었으니 연결 해봅시다

ssh 클라이언트가 제일 익숙하니 여기서 진행하겠습니다 

터미널을 열고 아까 저장한 pem키가 있는 폴더에서 명령어를 사용해서 ssh에 접속!

ssh -i "파일명.pem" ubuntu@ec2-ip주소.리전.compute.amazonaws.com

이런 화면이 나오면 접속완료~~!!

 

이제 무중단 배포를 위한 pm2설정과 github action을 사용한 cd를 구축할 예정
그럼 인스턴스를 설정하고나서 한번은 코드 저장소를 클론해야함

물론 그것도 자동화가 가능하지만..

이것은 수동으로 하겠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