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100 시스템 콜이란 - 운영체제 시스템 콜(System Call) 시스템 콜이란 운영체제가 각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 콜이라는 명령 또는 함수라고 할 수 있다. 즉 커널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이다. 커널 모드에서만 실행가능한 기능이 존재한다. (사용자 모드에서는 실행이 불가능 한 기능들) 시스템 콜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한다. 커널 모드로 실행하려면 반드시 시스템 콜을 거쳐야 한다. 즉 커널 모드는 운영체제가 사용한다. 💡 운영체제는 크게 2가지 모드로 나뉜다. 1. 사용자 모드 -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제한적인 명령만을 수행할 수 있다. 2. 커널 모드 - 운영체제가 CPU의 제어권을 가지고 운영체제 코드를 실행하는 모드 - 모든 종류의 명령을 다 실행 할 수 있다 이렇게 두가지 모드로 나누어 사용자 모드, 응용프로그.. 2022. 10. 7. 리액트 배열 추가, 삭제, 수정 배열 값을 업데이트를 해야하는 경우에도 객체와 동일하게 불변성을 지키야한다. push, splice, sort 와 같이 배열을 직접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함수를 쓰면 안된다! 상태관리를 위해 동일하게 useState 를 사용하면 된다. const [users, setUsers] = useState([ 생략 ]) Vue로 작업을 진행할때는 deep clone을 하지 않는다면 서로 값을 계속 공유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반면 리액트는 이를 제어 할 수 있는 점이 상당히 편리한 점이 될 것 같다. ( 뭐 좀 더 써봐야 알겟지만…! ) 배열 추가 새로운 배열 원소를 생성 useState로 기존 배열을 복사한 후 생성한 배열 원소를 추가한다. spread concat const onCreate = () =>{ //.. 2022. 10. 5. 운영체제 흐름파악하기 배포 및 약간의 인프라까지 담당하다 보니 운영체제의 중요성이 많이 느껴진다. 학부 때 날림으로 들엇던 과거 반성하며..다시 공부를 시작해보려고한다. 유명한 공룡책도 있지만 무슨소리지? 라면서 읽을 것 같아서 묵혀둔 패스트 캠퍼스 강의를 들으면서 정리한 후 공룡책을 읽어볼까 생각중이다 운영체제란? (Operating System) 운영체제가 뭐야? 라고 물어본다면 window 나 ios 같은거 아닌가요..라고 대답했을 것이다…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하게 사용 할 수 있게하는 시스템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운영체제의 역할을 알 수 있다. 컴퓨터 자원 관리 유저의 사용성 증대 컴퓨터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을 제어 컴퓨터 자원 관리 컴퓨터 하드웨어 그 자체는 우리가 가진 파일을 어디에 저장해야.. 2022. 10. 3. 정렬 알고리즘(선택정렬, 삽입정렬, 퀵정렬, 계수정렬) - python 선택정렬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해서 맨 앞의 데이터와 바꾸는 것을 반복 시간복잡도 Ο(n²)으로 상당히 느린편이다 array = [...] for i in range(len(array)): min_index = i; #가장 작은 원소의 인덱스 for j in range(i+1, len(array)): if array[min_index] > array[j]: min_index = j array[i], array[min_index] = array[min_index], array[i] 삽입정렬 특정한 데이터를 적정한 위치에 삽입 데이터가 거의 정렬되어 있을 때 훨씬 효율적 첫번째 데이터는 정렬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두번째 데이터 부터 시작한다 정렬이 이루어진 원소는 항상 오름차순을 유지한다. 시간복잡도는 Ο(n².. 2022. 10. 1. Cypress로 e2e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 - 시작하기 api 코드를 테스트 할때는 mocha, jest 로 진행을 해본 적이 있는데 프론트에서는 매번 테스트를 직접 진행했었다. 사실 테스트 코드를 짤만큼의 여유가 없기도 했지만,,변명 ㅎ 회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각보다 빨리 작업이 끝나서 남는 시간에 드디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볼 수 있었다. 사실 테스트 코드도 개발 진행사항에 포함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조금 더 완성도 높은 코드가 작성 될 수 있다. 앞으로는 테스트 코드 완료 일정까지 태스크 관리를 할 예정이다. E2E 테스트란 End to End 테스트로 사용자 입장에서 해당 소프트웨어를 테스트 하는 방법이다. 즉, ui/ux 기반의 테스트가 될 수 있다. e2e 프레임워크로는 cypress / selenium / testCafe / nightwa.. 2022. 9. 30. 리액트 입문 강의 정리 프론트엔드 이직시에 리액트 과제가 정말 압도적으로 많다. 그냥 여지것 본 모든 것들은 다 리액트였던 것 같다.. 그러므로 나도 뛰어든다 리액트! 아주 예전에 리액트 강의를 사둔 것이 있기에 해당 강의를 보고 정리하려고한다. 최종으로는 지금 vue.js로 구현한 것과 동일하게 구현할 예정이다. 과연 얼마나 걸릴지.. 리액트는 vue.js와 다르게 library이기 때문에 script 상단에 import React from 'react';를 꼭 해주어야한다 컴포넌트간 데이터 전달vue.js와 동일한 props을 사용하지만 사용법이 약간 다르다. 이때 props은 객체로 넘어 온다. react는 함수형으로 컴포넌트를 구성하므로 전달할 props을 매개변수로 받을 수 있다. props를 사용하여 전달 //---.. 2022. 9. 28.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