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일하게 된지 벌써 3년차로 이번해가 지나면 만 3년을 일하게 된다.
그동안 나의 이야기를 살짝 풀어보자면
나는 사수가 없는 환경에서 신입부터 일하게 되었다.
사실 학부시절은 제법 공부를 잘했다는 주변의 이야기와 객관적인 성적표 지표들이 나 자신에게 증명해주었기에
사수가 없어도 괜찮겠지라는 근거없는 자만심이 하늘을 찌른상태로 입사를 하게 되었다.
하지만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음에도 불구하고 1년차 나의 실력은 정말 끔찍했다고 말 할 수 있겠다.
실무에서 많은 좌절감을 겪고 있던 도중 개인 공부가 없다면 이대로 코더도 되지 못하는 2년차 3년차가 될 것 만 같았다.
프론트엔드의 가장 기본인 자바스크립트부터 제대로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유데*와 인프*에서 많은 자바스크립트 강의가 있었고 유데*는 가격이 저렴하니 그냥 바로 구매하였다.
하지만 영어로 강의를 들어야하는 점이 공부를 시작하는 진입장벽이 되었고 해당 강의는 그렇게 온라인 책장에 갇혀버렸다.
인프*의 경우는 가격 좀 높은 편이라고 생각하여 고민하고 있던 와중에
패스트캠퍼스라는 사이트 역시 알게되었고 프론트엔드 개발 올인원 패키지 with React라는 강의가 나온 상태였다.
해당 커리큘럼은 HTML, CSS부터 자바스크립트 타입스크립트, 리액트, 웹팩까지 다 다룰 수 있는 강의였다.
심지어 평생 소장....
당시 회사에서 프론트엔드는 나 혼자였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다 다룰수 있는 강의가 너무 소중했다.
심지어 구글링할때 자주뵙던 벨로퍼트님의 강의가 있었기에 따지지도 않고 결제했던거 같다.
가격역시 12만원으로 결제하지 않을 이유가 더더욱 없었다.
취업을 하고 나서 거의 바로 구매했던 강의였기에 초반에 부족한 scss강의를 꼼꼼하게 들었다.
아직 그때 강의를 들은 것으로 지금까지 scss는 잘 버티고 있는것 같다
이렇게 기본강의가 중요합니다...ㅎㅎ
92시간의 강의 시간 구성이였지만 모든 강의를 다 듣지는 않았다. 마지막 챕터인 vue.js 같은 경우는
현업에서 사용하는 것보다는 좀 쉬운 편이라 듣지 않았다.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챕터들을 위주로 빠르게 학습을 진행했다.
학교나 학원에서 깃을 사용 할때는 간단하게 풀, 푸시, 머지 정도만 사용해서 깃을 잘 사용한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는데
진유림 강사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좀 더 상세히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현 회사에서는 vue.js로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리액트에 대한 감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노션에 정리하며 리액트 위주로 강의를 들었다.
리액트와 타입스크립트를 둘 다 사용해야하는 시점에서 타입스크립트 강의도 같이 들을 수 있어
한번에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3년차인 지금
항상 CLI 로 프로젝트를 시작하다보니 빌드 구성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고 작업을 경우가 다반사였다.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져가면서 빌드 할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빌드 설정 파일을 만져야 되는 경우가 갈수록 많아지고 있었다.
그때마다 구글링을 하면서 임시방편으로 코딩을 한다고 생각이 들었기에 더 늦기전에 웹팩 강의를 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webpack 강의를 따로 구매하자니 그정도의 강의 분량이 아닌것 같아 고민하던 중
기존 패스트 캠퍼스의 있던 프론트엔드 강의에 해당 강의 내용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현재 강의를 듣고 있는 중이다.
왜 이 좋은 강의를 지금 들었을까 후회가 된다 ㅠㅠㅠ...
진작들을걸...31개의 짧은 강의니 이번년도 안으로 끝낼 예정이다
개발자 부트캠프가 인스타 광고에 하루에 몇개씩 뜨고 프로그래머*, 인프*, 유데*같은 많은 개발자 강의 사이트들이 존재한다.
그 중에 패스트캠퍼스를 선택하게 된 건 똑같은 강의지만 커리큘럼이 더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렇다고 수박 겉핥기로 간략하게 지나가는 것이 아닌 꼼꼼한 강의구성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어느 강의가 더 필요하게 될 지 모르겟지만 우선은 이직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딩테스트 강의를 구매할 예정이다!!!
기존에 듣고 있던 것은 아무래도 자바스크립트 부분과 좀 괴리감이 있어
자바스크립트 전용으로 구매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현재 수강중인 내돈내산 강의후기입니다!
본 게시물은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이벤트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Front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lify 환경변수(.env) 설정하기 (0) | 2025.02.14 |
---|---|
서버만들긴 애매하고 하드코딩은 하기싫고 json도 만들기 싫다면!? Firestore Database사용하기 (0) | 2025.02.07 |
FCM 같은 기기에서 다른 유저로 로그인한 경우에 이전 로그인 한 유저의 알람이 날라오는 이슈 (0) | 2022.12.03 |
VS Code Snippet만들기 (0) | 2022.11.11 |
웹 페이지 성능 확인하기 - Lighthouse (0) | 2022.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