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음 큰 숫자 - javascript

by Hyeonlog 2022. 9. 25.
728x90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다음 큰 수를 찾는 문제로써 1을 하나씩 더한 후 이진법으로 변환해서 1의 갯수를 비교하는 

문제 그대로의 방식대로 알고리즘을 짜서 풀었다.

무한루프를 돌려서 해당 조건문이 맞으면 탈출하는 방법으로 구현하였다.

 

function solution(n) {
    var answer = 0;
    const binary = n.toString(2)
    
    const sortedOne = binary.split('').filter(x=>x!=0)
    
    while(true){
        if((n+1).toString(2).split('').filter(x=>x!=0).length === sortedOne.length){
            answer = n + 1
            break;
        }
          n++;
 
    }
    return answer;
}

역시나 다른사람들의 풀이에서 조금 더 깔끔한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while의 조건문을 true로 주지않고 n++로 바로 전달하여 answer =  n+1부분도 생략이 가능했다.

무한루프를 탈출하는 것은 break를 써서 탈출하지 않고 return으로 바로 탈출하는 점도 깔끔하다고 생각이 든다.

 

  while(n++){
        if((n).toString(2).split('').filter(x=>x!=0).length === sortedOne.length){
          return n
        }
    }

 

split, filter와 같은 내장함수를 반복문에 썻음에도 호용성 점수가 떨어지진 않았지만

정규표현식을 사용한다면 조금 더 효율적으로 풀이가 가능했다.

 

정규표현식은 아직 코딩테스트에서 쓰는 것이 어색하지만 지금부터라도 잘 정리해두어야될 것 같다. 

코드를 많이 단축 시킬 수 있다.

 

1만 뽑아 내고 싶은 경우에는 

match(/1/g)

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끝낼 수 있다. 

728x90
반응형